투르쓰리

청년도약계좌 : 정부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책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했던 10년 만기 1억 저축상품은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의 하나입니다. 이제 드디어 관계 부처와 국회심의를 마치고 세부 내용을 정리하여 2023년 6월에 청년도약계좌라는 이름으로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만 19~34세의 청년(병역수행기간 제외)들을 대상으로 중장기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목돈마련 금융상품입니다. 5년 만기로 최대 월 70만 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며 최대 5,000만 원까지 만들 수 있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자격 및 조건

  •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한 만 19~34세 청년
  •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이하인 자

개인소득에는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모두 포함됩니다. 아래표는 2023 중위소득 180% 기준 금액

가구 인원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월 소득 374만 205원 622만 1,079원 798만 2,668원 972만 1,735원

 

청년도약계좌 다른 정부지원 상품 동시 가입 가능 여부

정부는 가능한한 연계지원을 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복지상품과 고용지원상품은 동시가입을 허용합니다(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

 

하지만 사업목적이 유사한 청년희망적금은 동시가입이 불가능하며, 만기나 해지 후에 청년도약계좌에 순차적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경우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하면 저축장려금 지급과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세부내용

청년도약계좌는 본인의 소득에 따라 월 40만원~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3~6%의 지원금을 은행에서는 이자를 지급합니다.

개인소득
(총 급여 기준)
월 본인 납입금 최대한도 월 기여금 지급한도 기여금 매칭비율 월 최대 지급 기여금
2,400만 원 이하 ~70만원 ~ 40만 원 6.0% 24,000원
3,600만 원 이하 ~ 50만 원 4.6% 23,000원
4,800만 원 이하 ~ 60만 원 3.7% 22,000원
6,000만 원 이하 ~ 70만 원 3.0% 21,000원
7,500만 원 이하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위 표와 같이,

연간 소득이 6,000만 원 이하인 청년들은 최대 6%의 정부 기여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습니다.

연간 소득이 6,000만 원 초과 7,500만원 이하인 청년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면 정부 기여금은 받지 못해도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은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 비교내용 청년희망적금
월 최대 70만 원 납입액 월 최대 50만원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이하
만 19~34세청년
가입조건
(병역이행기간은 미산입)
개인소득 3,6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
만 19~34세 청년
5년 만기 2년
5,000만 원 최대수령액 1,300만 원
3~6% 정부지원금 2~4%

 

청년희망적금은 2022년 문재인 정부에서 출시한 상품으로 혜택은 좋으나 가입 조건이 어려웠었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기준을 완화하여 대상자가 더 늘어났습니다. 위 두 상품은 만기 기간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비과세 혜택을 지원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은 기존 청년희망적금처럼 온라인과 오프라인 신청이 모두 있을 거로 예상됩니다. 아직은 정확한 출시 날짜와 수탁은행등이 나오지 않아 6월 발표 이후에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전 알아둬야하는 사항들

청년도약계좌가 좋은 혜택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은 사실이지만, 무턱대고 가입하는 것은 자제해야 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도 출시 7개월 만에 30만 명이 해지하는 등 시간이 갈수록 해지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납입 가능 여부

청년도약계좌의 만기는 5년으로 짧지 않습니다. 기간이 긴 만큼 중도에 해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어쩔 수 없는 일로 해지하게 된다면 감면 받았던 세금까지 도로 반납해야 하는 것이지요. 장기간 적금으로 묶여있기에 좋은 투자처를 발견하도고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재정상태를 잘 분석해서 무리없이 지속적으로 적금 납입을 할 수 있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따라서 무리가 되더라도 무조건 납입한도 70만 원씩 낸다고 하기보다는 완납을 목표로 조금 적은 금액이지만 40만 원을 선택하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하면 무조건 5,000만원?

앞서 살펴보았듯이 소득에 따라 납입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모두 5,000만 원을 달성하는 것은 아닙니다. 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해야 정부 기여금과 이자를 합쳐 5,000만 원이 되는 것이지요. 월 납입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과 이자를 계산해야 최종 수령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리

청년도약계좌는 아직 시행 전이라 앞서 설명드렸던 내용들이 조금은 수정될 수도 있습니다. 6월 정확한 정부발표가 나오면 관련내용들을 추가하여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